체류인구 765만명 1위 가평에서 배우는 인구관리의 새로운 해법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인구감소지역 체류인구' 분석에서 가장 놀라운 이름이 전국을 뒤흔들었다. 바로 경기도 가평군이다. 

인구감소지역 체류인구 수치도 (출처=리서치뷰)
인구감소지역 체류인구 수치도 (출처=리서치뷰)

9개월간 이곳을 다녀간 체류인구는 무려 7,651,781명. 이는 부산광역시 동구(5,001,951명), 강원도 홍천군(4,871,826명)을 압도하는 수치다.

뒤를 이어 ▲3위: 강원 홍천군(4,871,826명), ▲4위: 충남 공주시(4,867,507명), ▲5위: 인천 강화군(4,816,865명), ▲6위: 충남 보령시(4,780,253명), ▲7위: 충남 태안군(4,762,408명), ▲8위: 강원 평창군(4,572,584명), ▲9위: 대구 남구(4,253,295명), ▲10위: 강원 양양군(3,872,981명) 순이었다. 

단순히 관광객 수가 많다는 것을 넘어서, 이 통계는 '인구감소지역의 미래를 바꾸는 새로운 단서'를 제공한다. 

더 이상 주민등록 인구만이 지역을 먹여살리는 것이 아니다. 실제 지역에 머무는 사람, 곧 '생활인구(Living Population)'가 지역 경제와 도시 생존의 핵심 자원이 되어가고 있다.

생활인구란 무엇인가?

'생활인구'는 단지 주소지가 아닌 하루 혹은 몇 시간이라도 그 지역에서 머무는 사람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휴대폰 통신, 카드 사용, 교통 흐름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지역 내에 있는 사람의 숫자를 파악하며, 현실적 소비와 활동의 단위로서 행정에 활용되는 인구 통계다.

이 개념은 특히 지방에서 중요해진다. 주소를 옮기지 않은 채 일하거나 자주 방문하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그 지역의 소비력과 정책 수요는 증가한다. 행정도 점점 '거주 인구'에서 '생활 인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왜 가평은 1위가 되었을까?

가평은 인구감소지역이다. 하지만 연간 수백만 명이 자전거와 캠핑, 계곡 여행, 음악 페스티벌을 즐기기 위해 이곳을 찾는다. 

가평군은 관광을 넘어 체험형 체류 전략을 구축하며, 사람들이 오래 머물고 자주 찾게 만들었다. 

숙박과 연계된 지역 농산물 판매, 체험 마을 운영, 생태 트래킹 프로그램 등은 소비자와 주민을 연결하는 고리로 작동했다.

가평의 성공은 단순히 홍보나 유입이 아닌 '체류'의 질적 변화에서 나왔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디지털 기반 인구 데이터 분석과 전략적 마케팅이 있다.

순천·여수·광양의 현실과 전략

전남 동부권 도시들의 관광객 수는 이미 전국 최상위권이다. 202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방문객 800만 명 이상, 여수 해양관광지는 연간 1,300만 명 이상이 다녀간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광양 매화축제, 이순신대교 야경관광 등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볼거리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생활인구 통계에서는 가평보다 낮은 수치를 보인다. 

이는 방문객들이 체류형보다 소비 중심의 '경유형 관광'에 머무르고 있다는 증거다.즉, 사람은 많지만 오래 머물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머무는 관광지로서 매력적인 요소를 갖추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순천은 "순천만, 국가정원, 야시장 등 콘텐츠의 체류형 전환이 필요"하고, "'자연 속 2박 3일 힐링 패키지'처럼 지역 내 숙박-체험-식음료 연결 필수적이다"는 지적이다. 

여수는 "'여수밤바다' 이후의 콘텐츠 확장과 낮 관광→밤 공연→해양 액티비티 연결 구조가 필요"하고, "광양은 산업관광에서 '스마트 산업 체험형 관광'으로 전환하여 포스코 견학+메이커스 체험 연계를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체류인구와 지역경제 - 눈에 보이지 않는 현금 흐름

관광 전문가들은 "생활인구와 체류인구가 많을수록 지역경제에는 다음과 같은 직접적인 파급 효과가 발생한다"고 조언한다. 

이들은 "외지인의 카드결제, 숙박, 식사, 교통비 등은 지역 소상공인의 실질 매출로 직결되어 소비가 증대된다"며 "체류형 콘텐츠 운영 인력 증가로 이어져 청년 및 중장년 고용 창출"이 발생한다.

또한 "인구가 드나드는 도시일수록 임대료, 상가 수요 증가 등부동산 가치가 상승한다"면서 "생활인구가 많으면 정부의 지원 기준이 상향되어 SOC 및 복지 인프라 확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AI가 도와주는 '스마트 인구관리'

문제는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다. 바로 여기서 AI 시스템이 해답이 될 수 있다.

AI가 할 수 있는 인구관리 역할의 가능과 활용 사례를 살펴보면, ▲AI 기반 인구유동 분석 → 실시간 체류인구 예측으로 교통/편의시설 배치 최적화, ▲AI 관광도우미 챗봇 순천·여수 →주요 관광지 설명, 실시간 식당 추천 ▲AI 기반 도시 마케팅 SNS/검색 데이터 분석 → 타겟 맞춤 관광 콘텐츠 제작으로 이어진다. 

AI 생활편의 매칭 체류인구 대상 휴대폰 앱 기반 공공 서비스 추천도(병원, 대중교통, 축제 등) 가능하다. 

이처럼 전남도와 도내 각 시군은 AI 기반 '생활인구 플랫폼'을 구축해, 체류인구 증가와 인구감소 대응을 함께 꾀할 수 있다.

순천, 여수, 광양, 목포 등 전남의 주요 도시는 정체된 등록인구만 보며 좌절할 이유가 없다. ‘사는 사람’이 줄어들어도 ‘머무는 사람’을 늘리고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면, 지역은 살아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전략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가평이 보여준 통계, 그리고 AI가 제공할 해법은 우리 지역이 나아갈 방향을 정확히 가리키고 있다.

"소멸의 위기? 오히려 새로운 시작일 수 있다. 생활인구를 붙잡는 도시가, 미래를 선도한다.“

한편, 9개월 동안 해당 지역을 방문한 체류인구가 100만 명을 밑돈 지역은 ▲84위: 경북 청송군(979,260명), ▲85위: 경북 봉화군(960,984명), ▲86위: 전북 장수군(739,449명), ▲87위: 강원 양구군(655,270명), ▲88위: 경북 영양군(407,568명), ▲89위: 경북 울릉군(381,761명) 등 6곳으로 나타났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