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중국 정부가 공공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반도체의 50% 이상을 자국 칩으로 채우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주요한 기술 기업에도 엔비디아 칩 수입 금지를 지시한 바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7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지난해 3월 상하이시가 발표한 “2025년까지 지능형 컴퓨팅 센터에서 국산 칩 사용 비율을 50%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 의무화했다고 보도했다.

이 정책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와 공업정보화부(MIIT) 산하 기관들의 지지를 받았다.

중국은 최근 몇년간 인공지능(AI)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3~2024년 사이에만 500개 이상의 신규 프로젝트가 내몽골과 광둥 등에서 발표됐다.

하지만 AI 모델 학습에 필수인 고성능 GPU는 엔비디아 의존도가 높다. 미국이 H100이나 H800 같은 첨단 칩의 대중 수출을 금지하며, 중국은 화웨이 등 자국 기업의 칩 활용을 독려하는 상황이다.

다만, 중국산 칩 채택 확대는 상당한 기술적 도전을 수반한다는 지적이다. AI 칩은 제조사별로 독자적인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엔비디아 CUDA 환경에서 개발된 모델을 화웨이 CANN 같은 국산 칩 생태계로 이식하려면 많은 수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주요 AI 데이터센터들은 중국산 칩과 외산 칩을 혼합하며 호환성과 성능 최적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로 딥시크는 중국 당국의 권고로 엔비디아 대신 화웨이 칩을 'R2' 훈련에 사용했지만, 원하는 성능을 제대로 내지 못해 출시가 지연되고 있다.

중국 내 고성능 GPU 부족 현상도 문제다. 중국 정부는 최근 보안 문제를 이유로 자국 기업의 엔비디아 'H20' 칩의 수입을 금지한 바 있다. 하지만 당장 이를 대체할 화웨이의 칩도 부족해, 조만간 이를 해제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특히 중국에는 AI 서비스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어, 화웨이가 생산량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지만 수요를 모두 충족하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런데도 중국 정부가 ‘AI 자립’을 위해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 자급도를 끌어올리려는 시도는 더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