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디어의 지율주행 트럭. 장비를 펼친 길이가 수십m에 달한다.
존 디어의 지율주행 트럭. 장비를 펼친 길이가 수십m에 달한다.

이 정도면 '모터쇼'라고 부를만 하다. CES 2023에서 글로벌 차 업체들이 다양한 신모델과 기술을 선보였다.

독특한 모델들이 많이 등장했다. 그중 가장 눈길을 끈 업체는 세계 최대의 농기계 업체인 '존 디어'다. 카메라와 인공지능(AI) 센서, GPS 등을 장착한 자율주행 트랙터를 전시했는데, 땅을 가는 장비의 펼친 길이가 수십m에 달한다.

전기차 충전소를 앞세운 스텔란티스 부스
전기차 충전소를 앞세운 스텔란티스 부스

기조연설에서 전기차를 강조했던 스텔란티스는 전시회에서도 전기차 충전 기술을 내세웠다.

장애인 탑승에 최적화된 토요타 차량
장애인 탑승에 최적화된 토요타 차량

토요타는 장애인 최적화 차량과 회의가 가능한 밴 등 특수 목적용 차량을 선보였다.

추억의 휴대폰 블랙베리도 차량 플랫폼 업체로 참가했다. AI를 이용한 '아이비'라는 솔루션을 들고나왔다.

플랫폼 솔루션 '아이비'를 선보인 블랙베리 부스
플랫폼 솔루션 '아이비'를 선보인 블랙베리 부스

자율주행 솔루션 업체들은 차량 전시보다 상담과 기술 설명에 집중, '미팅 부스' 운영에 무게를 실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나 구글 등 차량용 OS 개발 중인 빅 테크도 마찬가지였다. 

아마존 '알렉사'가 탑재된 루시드 모델
아마존 '알렉사'가 탑재된 루시드 모델

그중 아마존은 음성인식 AI 서비스인 알렉사를 전기차 루시드에 장착한 모델을 선보였다. 음성만으로 차량내 온도 및 습도 드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MS는 집중 투자를 실시한 무인 트럭 업체 '카틱'이 대신 차량을 선보였다.

'카틱'의 무인 트럭
'카틱'의 무인 트럭

독일 부품 업체 ZF가 선보인 자동차 오퍼레이팅 시스템 '메티에이터'도 눈길을 끌었다. 시스템을 가시화하기 위해 모든 부품을 들어냈다.

ZF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메티에이터'
ZF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메티에이터'

한편 퀄컴은 자율주행 플랫폼 '플렉스 SoC'를 공개했고, 부품업체 보쉬는 기자 간담회를 통해 '양자 센서' 개발을 위해 IBM과 제휴한다고 밝혔다. 또 파나소닉은 차량용 음성 AI 플랫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집중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업체로는 현대모비스가 신개념 PBV(목적기반모빌리티) 콘셉트 모델 '엠비전' TO와 HI를 선보였다. 엠비전 TO는 전동화 시스템 기반 자율주행 차량이며, 엠비전 HI는 레저와 휴식, 아웃도어 목적에 맞게 개발된 PBV이다.

현대모비스의 콘셉트 모델 '엠비전'
현대모비스의 콘셉트 모델 '엠비전'

라스베이거스=특별취재팀(전동희 부국장 cancell@, 이주영 기자 ezooyng@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