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국회토론회 당시 촬영한 기념사진. (사진=광주시)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 국회토론회 당시 촬영한 기념사진. (사진=광주시)

광주시(시장 강기정)와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국내 유일 초광역 반도체 특화단지인 ‘시스템반도체용 차세대 패키징’ 허브 구축에 나선다.

광주와 전남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동 유치를 위한 전략기술로 ‘시스템반도체용 차세대 패키징’을 선정, 신청서와 육성 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화단지는 산업부와 전문위원회의 1차 검토·조정, 국무총리 주재 첨단전략산업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올해 상반기 중에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양 기관은 특화단지 후보지인 첨단 1지구와 3지구 일대가 글로벌 반도체 패키징 기업인 앰코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관련 산업기반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또 계획서에는 지역 산업 기반시설과 입주기관 현황, 기회요인, 특화단지 육성 비전 및 중장기 발전 방향, 세부 사업별 실행계획 등을 담았다고 전했다. 특히 국내 유일의 초광역 반도체 특화단지와 RE100 기반 에너지믹스 실현 최적지, 신속한 부지 확보, 용수와 교통 등 안정적 기반시설(인프라), 인공지능(AI)‧자동차‧전력 등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가 조성되면 경제적 파급효과와 함께 K-반도체 핵심 요충지로서 공급망 안정화와 국가 경제안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역량을 모아 앞으로 진행될 산업부 심사에 대응, 특화단지 유치에 노력을 기울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신청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역자치단체 간 협력으로 신청서를 제출했다”며 “지역의 강점을 활용해 대한민국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광주․전남이 선도하는 한편 지역균형발전의 근거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곳은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이끌 차세대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가진 지역”이라며 “시도민의 염원인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광주시와 원팀으로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와 전남은 지난해 7월 반도체 특화단지를 민선 8기 상생 1호 협력사업으로 정하고, 9월 반도체산업 육성 추진위원회와 12월 반도체 인재양성위원회를 발족했다. 지난해 12월에는 국회토론회를 개최했으며, 올 2월에는 주요 반도체 기관과 반도체 산업 육성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했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