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이두가 ‘챗GPT’와 비슷한 ‘어니 봇’을 예정에 맞춰 출시하기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 WSJ)은 바이두가 오는 16일로 예고한 ‘어니 봇’ 출시를 앞두고 수백명이 매달려 24시간 내내 작업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몇가지 기본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공지능(AI) 챗봇 개발에 강력한 컴퓨팅이 필요하지만 미국의 고성능칩 봉쇄로 난항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경영진은 자율주행 기술 연구 부서 등에서 칩을 빌리는 해프닝도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두는 지난달 ‘어니 봇’을 자사 검색엔진에 탑재해 16일부터 일반에 공개하겠다고 발표했었다. 이에 소림사를 비롯해 중국내 400개 이상의 기업이나 기관이 사용 예약을 해둔 상태다.
이를 두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바이두가 AI챗봇을 성공적으로 출시하면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 불러올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바드’를 시연하다 오답을 내놓아 주가가 폭락한 구글과 비슷한 운명을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바이두는 현재 챗봇이 여러 의미를 나타내는 문구를 명확하게 구분하거나 자연스러운 언어를 생성하는 기능 그리고 사실에 기반한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바이두는 챗봇의 답변을 검토하고 개선하는 인력을 고용했지만 관계자들에 따르면 각 단계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있다. 또 이번주 들어선 엔지니어와 제품 관리자들이 사용자 요청에 빨리 응답하고 검색 결과를 요약하는 등의 기본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
이처럼 시간이 부족한데 따라 일부 직원들은 ‘어니 봇’이 사용자나 시장의 기대치를 충족할 수 있을지 불안해 하고 있으며 출시일이 다가오면서 회사 주식을 파는 직원도 나오고 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