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인공지능(AI) 챗봇 ‘바드’를 정식 출시했다.
구글은 21일(현지시간) 블로그에 질문을 하면 답변을 제공하는 독립 웹페이지로 챗봇 '바드'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번에 출시한 '바드'는 검색과는 무관한 AI 챗봇 서비스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렇지만 구글은 답변 창 아래에 별도의 검색 버튼을 배치해 필요한 부분은 구글 검색도 가능하게 했다. 또 채팅창 하단에는 '잘못된 답변이 나올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도 배치했다. 다른 답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넣었다.
구글은 블로그에 "이 AI 챗봇 서비스는 실험"이라며 "미국과 영국에서 영어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이용 지역과 언어를 늘려 나가겠다"고 매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구글은 지난달 6일 대형언어모델(LLM)인 ‘람다’의 경량화 버전인 바드를 발표하고, 제한된 이용자들에게 공개해 테스트를 해왔다. 지난 2일 열린 구글 전체 직원회의에서는 경영진은 '챗봇이 검색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용자가 챗봇을 검색처럼 사용하려는 경향을 수용하기 위해 '서치잇(Search it)'과 '다른 답변 보기'와 같은 보조기능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보조기능은 21일 공개한 ‘바드’에 포함됐다.
구글은 '바드'가 “LLM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로, 구글 검색에 대한 보완적인 경험”이라며 답변 내용 중 검색이 필요한 부분은 ‘구글 잇(Google It)’을 클릭하라고 안내했다.
또 LLM은 프롬프트가 주어지면 다음에 올 단어를 확률적으로 예측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항상 창의적인 응답을 내놓지는 않는다면서 이를 고려해 다른 답변을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구글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질문 횟수를 제한하는 등의 규칙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바드'는 코드 생성을 하지는 못한다. 구글은 FAQ 코너를 통해 "바드는 아직 코딩에 도움을 줄 수 없다. 여전히 코딩을 배우고 있으며, 코드에 대한 응답은 현재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이날 직원들에게 보낸 메일에서 "바드의 성공이 이제 공개 테스트에 달려 있다"면서 “상황이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CNBC와 뉴욕타임스 등이 보도했다. 바드의 첫 공개 당시 주가가 폭락한 점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사용자의 피드백은 제품과 기술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피차이 CEO는 또 바드 테스트에 구글 직원 8만명이 참여했다며 앞으로 전문적인 피드백을 위해 1만명의 참가자를 추가 확보했다고 전했다.
구글은 당초 챗봇을 검색에 통합할 계획이 없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챗GPT를 검색 엔진에 결합하겠다고 밝히자, 코드 레드를 발령하고 통합을 추진했다.
하지만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검색 광고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 때문에 독립된 AI 챗봇 서비스로 '바드'를 출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시시 시아오 구글 제품담당 부사장은 "바드를 이용해 수익을 내는 방안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정병일 위원 jbi@aitimes.com
- 구글, 챗GPT 경쟁자 '바드' 정식 공개..."테스트 거쳐 몇 주내 일반 공개"
- "챗봇은 검색용으로 적합하지 않다”…구글 경영진 한계 인정
- 구글, MS에 맞서 새로운 생성 AI 라인업 발표
- 인텔, 엔비디아에 맞서 생성 AI 기업 설립
- '챗GPT' 업은 '빙' 이용자 16% 증가...구글은 1% 하락
- 오페라·모질라, 웹 브라우저 생성 AI 대열 합류
- "챗GPT는 귀중한 도구"
- 구글, 바드 AI 기술에 집중...어시스턴트 팀 재편
- 구글, 최첨단 언어모델 ‘팜’ 으로 AI 챗봇 ‘바드’ 업그레이드
- 구글, 5월 중에 챗봇 결합한 검색엔진 ‘마기’ 공개한다
- 레딧, 데이터 사용 유료화 추진...API 액세스 요금 부과
- 스택오버플로우, 커뮤니티 데이터 유료화 동참
- 구글, AI 챗봇 ‘바드’에 코드 생성 기능 탑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