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xt Wave of AI Innovation with Microsoft Bing and Edge' (출처=MS 공식 블로그)

마이크로소프트(MS)가 GPT-4를 탑재한 검색 '빙'을 대기 없이 완전 오픈했다.  

MS는 4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출시 3개월 만에 인공지능(AI) 검색 엔진 빙을 전면 개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제한된 프리뷰 및 대기자 명단은 사라지고, 누구나 MS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바로 빙 검색을 이용할 수 있다.  

MS는 우선 90일 만에 5억건이 넘는 빙 채팅이 이뤄졌으며,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2억개 이상의 이미지가 생성됐다고 밝혔다. 일일 활성 사용자는 1억명을 넘어섰고, 빙 모바일 앱의 일일 설치 수는 출시 이후 4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 엣지 브라우저 점유율이 8분기 연속 성장했으며, 매월 5억명 이상이 사용 중인 윈도우 작업표시줄을 통해 빙의 접근성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대규모의 사용자 참가와 피드백으로 인해 MS는 빙 검색이 다음 단계로 나갈 준비를 마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더불어 빙의 기능도 강화했다고 밝혔다.

우선 이미지 크리에이터 기능을 통합해 텍스트로만 답하던 방식에서 나아가 표나 그래프 등 시작적인 형태로 답변을 강화했고, 이미지와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 모달' 기능을 추가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채팅 기록을 저장, 이전 채팅 내용을 계속 반영해 개인화한 검색을 지원한다. 더불어 채팅 내용을 SNS나 워드와 같은 문서 파일로도 내보내는 기능을 곧 추가할 예정이다. MS는 이 두 가지 기능이 사용자로부터 가장 많은 요청을 받았다고 전했다.

오픈AI가 GPT-4에 도입한 '플러그인' 기능도 추가한다고 밝혔다. 플러그인을 도입하면 사용자는 검색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레스토랑이나 호텔 서비스 예약 및 온라인 쇼핑이 가능해진다. 

또 날씨나 스포츠 스코어와 같은 실시간 정보 검색은 물론 기존에 취약했던 수학이나 과학 문제에 대해서도 전문 업체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플러그인 서비스나 파트너에 대해서는 5월 중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MS는 허위 정보나 데이터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프리뷰 단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피드백을 계속 수용해 빙 검색을 지속 업데이트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에 대해 전문 매체 기즈모도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 "오류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근성만 높여 문제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오는 10일부터 시작하는 구글의 'I/O 2023 개발자 컨퍼런스'에 맞춰 선공을 날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구글은 이번 컨퍼런스에서 챗봇을 결합한 검색엔진 ‘마기’ 등 20개에 달하는 AI 신제품 발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