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남 순천시(시장 노관규)는 관내 어린이집 10곳에 AI 푸드스캐너를 설치하고 운영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과 친환경 음식문화 조성을 목표로 하며, 어린이들에게 환경문제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AI 푸드스캐너는 배식 전후 식판을 촬영하여 잔반량을 데이터화하는 기술로, 이를 통해 식자재 소비량을 예측하고 불필요한 음식물 생산을 줄여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에게 적정량의 음식을 배식하고 섭취하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전남 지역에서는 순천시 외에도 광양시가 AI 푸드스캐너를 도입하여 유아들의 식습관 개선에 나서고 있다.
광양시는 한국보육진흥원과 협력하여 관내 어린이집 12곳에 총 16대의 AI 푸드스캐너를 설치하고, 아이들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지원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서울 종로구, 경기 광명시, 경북 안동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 AI 푸드스캐너를 도입하여 어린이들의 식습관 개선과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힘쓰고 있다.
서울 종로구는 관내 모든 어린이집에 AI 푸드스캐너를 도입하여 학부모 만족도 조사에서 90%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AI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식습관 개선과 음식물 쓰레기 감량 노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순천시와 같은 지자체들의 선도적인 실천은 친환경적인 문화 확산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전국 각 지자체,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원 규모 달라
- 무안공항, AI 기반 조류충돌 방지책 마련 서둘러야
-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세계인의 축제로!
- '고로쇠'를 품고 '봄'을 알리는 도시 광양
- 전남도 '615억' 출산정책, 실효성 여부
- 전남도, 중국 AI '딥시크' 접속 차단…보안 우려 선제 대응
- 전동킥보드 사고와 주차대란…AI로 해결할 수 있을까?
- 보성군, 공연예술 공모사업 전남 최다 선정 쾌거
- 보성군, 2025년 농업인 정보화 교육생 모집
- 여수시, AI 기반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 구축
- 파루솔라, 도쿄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에서 신형 영농형 단축 트래커 공개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