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발표한 "목포, 신해양시대 여는 동북아 거점 육성" 계획과 AI 기반 해양·스마트항만 혁신 모델이 맞물리며, 목포가 대한민국의 해양 중심지로 도약할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구상이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 높으며, 현실적인 정책과 단순한 구호에 그칠 수 있는 정책을 가려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과 보완이 필요한 정책을 살펴본다.
김영록 지사의 '7대 비전'과 그 현실성
김 지사는 목포를 대한민국 3대 항구로서의 명성을 회복하고, 동북아 해양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7대 비전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분석됐다.
▸목포 3대 대개조 프로젝트: 복합문화공간 조성, 철도 및 주거·교육 시설 개선 → (현실 가능성 높음, 기존 도시개발 계획과 연계 가능하다.)
▸목포 관광 2천만 시대 개막: 글로벌 해양관광 랜드마크, 미식·스포츠 관광 → (관광 인프라 확대는 필요하지만, 관광객 2천만 명 유치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문화항구도시 조성: AI기술 활용 김대중세계평화공원, 전남수묵비엔날레 → (전시공간 및 예술행사와 연계 가능, 그러나 경제적 파급력은 제한적이다.)
▸친환경 해양신산업 허브 구축: 해상풍력 클러스터, 친환경 선박 연구개발 → (정부 및 기업 협력이 필수적, 현실적인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수산식품 수출 1조 원 달성: 김 산업 수출 전진기지, 글로벌 유통플랫폼 → (수출시장 확대가 중요, AI·빅데이터 활용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환태평양 관문 교통망 대전환: 서남권 물류체계 구축, 국도 77호선 개설 → (대규모 투자 필요, 중장기 계획으로 접근해야 한다.)
▸서남권 경제공동체 조성: 해양치유관광벨트, 국제행사 개최 → (서남권 전체 협력이 필요, 실행 계획이 부족하다.)
위 정책 중에서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은 ▸3대 대개조 프로젝트, ▸수산식품 수출 산업화, ▸친환경 해양신산업 허브 구축 정책으로 평가됐다.
반면에 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은 정책으로 ▸관광객 2천만 유치, ▸서남권 경제공동체 조성 정책이 꼽혔다.
AI 기반 해양·스마트항만 산업 혁신 모델 분석
AI타임스가 제안한 해양산업과 AI를 결합한 '스마트항만' 모델은 신성장동력으로 평가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I 기반 해양 바이오 연구 및 산업화: 해양 바이오 신소재 연구, 해양 생명공학 기술 개발 → (글로벌 해양 바이오 시장 성장세를 감안하면 실현 가능성이 높음,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하다.)
▸AI 스마트항만 구축 및 물류 자동화: AI 기반 무인 크레인, 자동화 컨테이너 시스템 → (세계 주요 항만에서 이미 도입 중, 현실적 접근이 가능하다.)
▸AI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선박운항 최적화: 해양오염 감지, 선박운항 최적화 → (환경 보호와 경제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정부 지원 및 규제 완화 추진: AI 해양산업 특구 지정, 기업 유치 인센티브 확대 → (정책적 지원 여부가 관건, 정부 협력이 필수다.)
위 AI 기반 정책 중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은 ▸AI 스마트항만 구축, ▸AI 기반 해양 바이오 산업화, ▸해양환경 모니터링 정책으로 분석됐다.
반면에 AI 기반이라도 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은 정책은 ▸정부 규제 완화 없이는 AI 기반 항만 특구 지정이 어려움 예상된다고 지적됐다.
목포의 미래, AI와 해양산업의 융합이 필요하다
목포가 신해양시대를 선도하려면 "김영록 지사의 7대 비전에서 도시 개발 및 친환경 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AI 기반 해양산업과 스마트항만 혁신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점이 요구되었다.
특히, "AI 기반 스마트항만 구축과 해양 바이오산업 육성은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며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다.
반면, "관광객 2천만 유치와 서남권 경제공동체와 같은 구상은 현실적인 실행 계획이 부족해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목포가 글로벌 해양경제도시로 거듭나려면, "전통적인 산업 정책과 AI·첨단기술을 융합한 혁신 모델을 병행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제는 "정부 지원을 기다리기보다 지역 주도형 AI 해양산업 발전 모델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때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미국발 철강 관세, 국내 철강업계 '긴장'…광양제철소, 대응 전략은?
- 지방 직장인도 AI·디지털 교육 혜택…온·오프라인 맞춤형 강좌 확대
- 김영록 지사, "목포, 신해양시대 중심으로"
- AI, 동물 통증 평가에서 수의사보다 앞섰다
- '국가대표 AI 팀' 선발…전남도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순천시, '캐릭터 산업'으로 100년 먹거리 개척…실현 가능성과 과제는?
- 전남도 50조 AI 데이터센터, 30억도 못 낸 퍼힐스 믿어도 될까?"
- 전남국립의대, 이제는 국가가 응답할 때다
- 전남 AI 디지털 교과서 채택률 11.1%…교육부 불이익 방침에 반발
- 국립목포대, 차세대 반도체 연구 거점 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