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WC 삼일회계 법인 및 MWC 2025 가이드(가천대 최재홍 교수),MWC 한국지사 메세플래닝 자료 (사진=KICTA)
PWC 삼일회계 법인 및 MWC 2025 가이드(가천대 최재홍 교수),MWC 한국지사 메세플래닝 자료 (사진=KICTA)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KICTA, 회장 이일로)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국내 기업 187개사가 참여하며, 이중 25개사를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3월3~6일 열리는 MWC 2025는 ‘융합하라(Converge), 연결하라(Connect), 창조하라(Create)’라는 테마로 진행된다. ▲5G 인사이드 ▲커넥트X ▲AI+ (인간화 AI) ▲엔터테인먼트 재창조 ▲게임 체인저▲디지털 DNA 등이 주요 주제다. 1홀~7홀에는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 8.1홀에는 스타트업이 배치됐다.

MWC 2025는 세계 각국 800여개의 이동통신사업자들이 회원사로 가입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주관한다. 세계 각국의 통신 정책 관련 장관급, 통신사업자, 제조기업, 유통기업, 투자자 등 방문객 중 절반 이상이 임원급으로, 기술 협력과 공급 계약, 투자 계약 등이 이뤄진다.

올해는 디지털 헬스, 그린 테크, 핀테크, 디지털 호라이즌 및 모바일 프론티어 분야를 대표하는 후보 5곳을 선정, 3월5일 시상식에서 발표한다.

(사진=KICTA)
(사진=KICTA)

국가별로는 주최지인 스페인에서 가장 많은 기업이 참여한다. 이어  미국과 중국에 이어 국내는 네번째로 많은 기업이 나선다. 국내에서 삼성전자, KT, SKT, LGU+ 등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109개사 및 4YFN관 스타트업 78개사 등 187곳이 포함됐다.

지난해에 비해 22개사가 증가했으며, 2017년부터 꾸준히 국내 기업의 참가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중 중견‧중소기업은 7홀에 KOTRA와 KICTA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한국관에 32개사,  IT 및 통신장비 우수 종합홍보관에 기업 부담으로 참가하는 16개사, 독립 부스 14개사 등 109개사가 위치한다.

특히 KICTA관 25개사는 양자컴퓨팅, 블록체인, 플랫폼, 앱개발, 서비스 등의 스타트업으로 구성됐다. 국고 지원없이 자비로 참가, 성과에 따라 참가비와 홍보 마케팅비 등을 환급받는다.

이한범 KICTA 상근부회장은 "MWC는 이동통신사업자 및 IT 글로벌 기업과 계약 및 스타트업 투자유치 등 성과가 기대되므로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라며 "모바일을 응용한 기술, 플랫폼, 서비스 등을 개발한 스타트업은 MWC 4YFN에 참가하여 투자유치 등 성과를 올릴 수 있으므로 지원전략 개선과 CES, MWC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