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3.2GW 집적화단지 지정…기회와 과제는?
도민 소득·산업 유치 기대감 속, 지역 간 형평성과 주민 수용성 확보가 관건

전라남도가 신안 해역에 조성 중인 3.2GW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를 거쳐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 집적화단지로 지정됐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해상풍력집적화단지 지정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해상풍력집적화단지 지정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단일 단지 기준 세계 2위 수준이며, 정부 차원의 집적화단지 지정은 해상풍력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전남도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민간자본 20조 원을 유치하고, 도민에게는 에너지 기본소득을 지급하며, 기자재 산업 클러스터 조성과 일자리 창출 등 지역균형 발전의 새 전기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목포신항과 해남 화원산단을 거점으로 해상풍력 제조기업 100개를 유치하고, 전문인력 2,500명 양성 및 3만 개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겠다"며, "전남을 아시아·태평양 해상풍력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해상풍력, 전남에 어떤 기회를 줄까?

신안 해상풍력단지는 발전 설비 용량으로 원전 3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전남도는 이번 사업으로 ▲에너지 전환 거점으로서의 전남 위상 강화 ▲에너지 기본소득 1조 원 달성, 연간 REC(재생에너지 인증서) 수익 2,450억 원 확보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 육성 및 조선업 재도약 ▲RE100(재생에너지 100%) 수요 기업 유치 기반 마련 ▲청년 인력 양성과 고소득 일자리 창출 등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도는 신안·목포·해남 등 서남권을 중심으로 해상풍력 산업벨트를 구축하고, 여수·고흥 등 동부권에도 13GW 규모의 추가 단지를 계획 중이다.

장밋빛 기대만큼…우려되는 지점은?

하지만 전남 전역에 균등한 혜택이 돌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지역 불균형 문제다. 현재까지 서남권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면서, 광양·순천·구례 등 동부 내륙권은 직접적 수혜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주민 수용성 확보다. 해상풍력단지는 어업권 침해, 조망권 훼손 등 민원을 불러올 수 있어, 주민 반발이 발생하면 사업 지연 가능성도 있다. 도는 민관협의체를 통해 주민 참여형 상생 모델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셋째, 전력 인프라 구축이다. 발전된 전기를 공급할 송전선로 확보가 과제다. 전남도는 송전선 경과지 주민과 협의체를 구성해 갈등을 조율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기업 참여율이 낮을 경우, 실제 경제적 효과가 수도권 대기업에 편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전문가들 "균형과 참여가 핵심"

지역 에너지 전문가들은 "신안 해상풍력단지는 전남 산업구조 전환의 중요한 모멘텀"이라면서도, "지금부터는 동부권 내륙과 타 산업과의 연계를 설계하고, 주민과의 신뢰 기반 소통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해상풍력 수익이 단순 재정 보전이 아닌 도민이 체감 가능한 정책으로 환원될 수 있는 분배체계 설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집적화단지 지정은 단순한 에너지 개발사업을 넘어 전남의 산업, 경제, 복지 전반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역사적 기회다.

그러나 그 기회가 특정 지역에만 집중될 경우, 도 전체의 동력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전남도는 앞으로 500만 도민과 함께할 '풍력 미래도시'의 청사진을 더욱 정교하게 그려야 할 시점이다.

기회의 바람이 지역 전체에 골고루 불 수 있도록, 지금 필요한 것은 바람을 조절할 디테일한 방향타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