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인공지능(AI) 전문가 1000여명이 사회에 대한 위협을 이유로 AI 개발 잠정 중단을 촉구했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 다수 외신이 29일(현지시간) 미국 비영리단체 '삶의 미래 연구소(FLI)'가 머스크와 AI 전문가, 업계 관계자 등 1000여명이 서명한 공개 서한에서 오픈AI의 'GPT-4'를 능가하는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을 6개월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FLI는 이 공개 서한에서 "강력한 AI 시스템은 그 효과가 긍정적이고 위험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만 개발해야 한다"면서 "기계가 우리의 정보 채널을 선전과 거짓으로 넘치게 할 수는 없다. 우리를 대체할 비인간적인 마음을 개발할 결정권을 선출되지 않은 기술 리더에게 위임해서는 안 된다"고 압박했다.

서명한 인물에는 머스크 외에 스티브 워즈니악 애플 공동창업자, 에마드 모스타크 스테빌리티AI CEO, 에번 샤프 핀터레스트 CEO 등 거물이 포함됐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메타의 경영진은 빠졌으나, 알파벳 자회사인 딥마인드 연구원 일부가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딥러닝 창시자로 알려진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와 AI 권위자로 꼽히는 스튜어트 러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교수 등은 물론 베스트 셀러 작가인 유발 하라리도 서명에 동참했다.

FLI는 머스크 재단과 런던 소재 파운더스 플레지, 실리콘 밸리 커뮤니티 재단 등 자선단체의 지원을 받는 비영리 단체다. 인류가 직면한 글로벌 재앙 및 실존적 위험, 특히 AI로 인한 실존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모토로 내세우고 있다.

머스크는 공개서한 발표에 앞서 AI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밝혀왔다. 오픈AI의 상업화를 비난한 것은 물론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거론하며 "AI가 스트레스를 준다"고 말했다. 심지어 AI 프로그램이 "그 자체로 괴물이 될 수 있다"며 강력한 법규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런 머스크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제임스 그리멜만 코넬대학교 디지털 및 정보법 교수는 "테슬라가 자율주행차의 AI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고 얼마나 열심히 싸웠는지를 고려하면, 일론 머스크가 서명하는 것은 매우 위선적"이라고 말했다.

또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분석가는 "이는 전략적으로 MS의 속도를 늦추려는 움직임"이라며 "테슬라 역시 AI의 다음 단계를 주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번에 서명한 게리 마커스 뉴욕대학교 교수는 "서한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정신은 옳다. 파급 효과를 더 잘 이해할 때까지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며 "빅테크들은 점점 더 비밀스러워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가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어렵게 되고 있다"고 밝혔다.

슈레시 벤카타수브라마니안 브라운대학교 교수이자 전 백악관 과학기술실 차장 역시 "이런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많은 권한은 이를 수행할 자원이 있는 소수 회사의 손에 지속적으로 주어졌다"며 "이런 모델은 구축하기 어렵고 민주화하기도 어렵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공개서한에 대해 오픈AI와 MS, 구글 등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