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영상 분석, 의료 분야에서 성행...관련 특허 출원 급증
특허청(청장 이인실)은 영상 분석 인공지능(AI) 기술이 X-레이, CT, MRI 등 의료 시장에서 성행, 관련 글로벌 특허출원이 최근 10년(2011년~2020년) 사이 연평균 54.7%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의료영상 분석 AI란 관련 데이터를 분석, 의사의 진단을 지원하거나 보조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주요국 특허청(한국, 미국, EU, 중국, 일본)에 출원된 의료영상 AI 특허를 분석한 결과 2011년도 58건에 불과하던 출원량이 10년 사이 연평균 54.7% 성장해 2020년에는 2946건에 달했다. 최근 5년(2016년~2020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0.9%로, 증가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추세다.
특히 한국은 연평균 67.1% 증가를 기록, 주요국 중 두번째로 빠른 성장률을 보였다. 중국이 8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출원인 국적에서도 1위는 중국이 차지했다. 중국 39.8%(3477건), 2위 미국 19.8%(1733건), 3위 한국 12.1%(1057건), 4위 일본 11.2%(980건), 5위 독일 6.0%(522건) 순으로 나타났다.
최다 출원인은 지멘스 헬시니어스(4.5%, 393건)가 차지했다. 2위는 필립스 헬스케어(2.6%, 229건), 3위가 캐논 메디컬 시스템즈(2.1%, 185건)다. 한국 출원인으로는 11위 삼성전자(1.0%, 87건), 20위 딥 바이오(0.5%, 48건), 24위 연세대(0.5%, 44건)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세계 100위 내에서 한국 출원인은 16곳이었으며, 그중 8개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다. 딥 바이오, 루닛, 휴런, 제이엘케이(JLK), 뷰노, 딥노이드, 웨이센, 휴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학 출원 비율도 30.2%로 세계 평균(23.2%)보다 높았다.
자연스레 기업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허출원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허핀달-허쉬만 지수를 기반으로, 2011년에 458이던 집중도가 2020년도에는 46으로 낮아져 완전자유경쟁에 가까워졌다. 다수의 새로운 기업들이 AI 의료영상 분석기술 시장에 뛰어든 결과다.
전범재 특허청 인공지능빅데이터심사과장은 “이번 분석으로 의료영상 분석 AI 기술의 특허장벽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국내 중소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라며 “기업들이 효과적인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특허 분석자료를 적시에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 루닛, 국제 항암학회서 AI 바이오마커 연구초록 6편 발표
- 뷰노, 심전도 측정기 '요양급여 청구 대상' 인정
- 루닛, 유방 클리닉 환자 대상 첫 전향적 AI 연구계획 발표
- 온오프믹스, XL8와 국제회의용 AI 실시간 통역 솔루션 출시
- 루닛, 유럽종양학회서 ‘루닛 스코프’ 연구초록 9편 발표
- 휴런, AI 파킨슨병 진단 기술로 '발명특허대전 특허청장상' 수상
- 휴런, 뇌 CT 분석 AI 솔루션으로 식약처 인증 획득
- 휴런, 미국 병원들과 '뇌출혈 AI 솔루션 임상시험' 성공
- 제이엘케이, '뇌졸중 진단 솔루션 논문' 국제학술지에 발표..."대학병원 전문의 수준 입증"
- 제이엘케이, 전립선암 진단 AI 솔루션 FDA 승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