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협의회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관련해 다섯 가지 주요 요청사항을 교육부에 제안했으며, 교육부는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는 지난 10월 10일 간담회에서 시작되어, 16일에 교육부로 제안되었고, 김문수(민·순천갑) 의원은 교육감들의 요청을 지지하며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있어 시도교육청의 예산부족 해결을 위한 ▲특교세 지원, ▲개인정보보호와 보안시스템 강화, ▲교수·학습 플랫폼과의 콘텐츠호환성 강화, ▲교원연수의 질 향상, ▲단계적 도입과 속도조절이라는 다섯 가지 사항을 제안했다.
이 중 단계적 도입에 대한 요청은 2025년에는 당초 계획대로 도입하고, 2026년 이후 도입 과목 수를 조정해 속도 조절을 하자는 것이다.
김문수 의원은 이러한 제안에 대해 "학교 현장과 국민들의 우려가 교육감들을 통해 전달되었고, 교육부가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AI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충분히 검증하고,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면서 신중하게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교육 현장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지만, 김문수 의원이 지적한 대로 그 효과성 검증과 학교 현장의 준비 상태를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정적 지원의 문제는 물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크며, 특히 AI 기반 교육 콘텐츠의 질과 플랫폼 간 호환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디지털교과서 도입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제안한 내용은 시의성이 높은 사항으로, "디지털교육의 빠른 도입보다 안정적이고 검증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교육부가 열어놓고 검토하겠다는 입장은 긍정적이지만,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AI 디지털교과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인 준비가 더욱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우리 교육이 디지털화에 서두르는 과정에서 빠트릴 수 있는 지점은 학교 구성원의 참여와 의견수렴, 그리고 기술적 완성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으로 본다.
디지털 교육으로의 전환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AI 기술을 통한 교육 혁신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충분한 검토와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서두르기보다는 한 걸음씩 나아가는 전략이 오히려 장기적인 성공을 담보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AI가 이끄는 행정 혁신, 보성군 공직자 역량 강화 교육 성료
- 전남도, 소프트웨어와 AI 인재 육성 박차
- AI와 드론으로 해양쓰레기 스마트 해결, 전남의 혁신적 해양 관리
- AI 기술로 여수석유화학산단의 안전 혁신 강화해야
- 국립대학 통합 압박하는 용역사, 누가 권한을 주었나?
- 여성 취업박람회에 등장한 AI, 맞춤형 취업 매칭 도와
- 순천만의 소리, 전국을 물들이다
- AI와 함께하는 행정의 미래, 준비해야 할 변화와 과제
- 전남교육청,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위한 전산 담당자 역량 강화에 박차
- 천재교육·클래스팅, 디지털교과서 검정 최종합격..."수학 과목 강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