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교육청이 '글로컬 전남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정체성과 국제적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역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세계와 소통하는 교육 모델은 전남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2030 교실, 전남 미래교육의 핵심
전남교육청은 2030년까지 미래 교육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 '전남 메타스쿨'을 중심으로 한 원격 화상 수업을 도입했다.
목포고등학교와 나주고등학교 학생들은 화상으로 연결된 교실에서 인구 소멸 문제와 다문화 이해를 주제로 학습하며, 지역과 글로벌 이슈를 동시에 다루는 교육의 장을 열었다.
실제로 호주 고등학교와 연계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올해 호주를 방문해 현지 문화를 체험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학습 교류를 넘어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경험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다.
전남교육청은 125개 미래 교실에서 인공지능 학습 분석 시스템을 활용해 맞춤형 혁신 수업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직업계고, 글로벌 인재 양성의 전진 기지로
전남의 5개 직업계고등학교는 해외 인재 유치를 통해 교육의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베트남, 몽골, 인도네시아에서 선발된 77명의 해외 학생들은 전남에서 한국어와 전공 분야를 학습하며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각 학교는 학생들의 배경과 전공 분야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구림공고: 건축 및 기술 교육 ▲목포여자상업고: AI 및 보건 전문 교육 ▲전남생명과학고: 농업 기술 ▲완도수산고: 수산업 관련 기술 ▲한국말산업고: 말산업 특화 교육 등이다.
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심리적 지원과 생활지도 프로그램도 병행하고 있으며, 한국 생활 가이드북과 해외 인재 유치 매뉴얼을 통해 체계적인 정착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광주와 전남 출신의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거론되며, 전남의 독서 인문교육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역사·문화를 기반으로 한 독서 인문교육과 함께 민주·인권·평화 정신을 배우는 '의(義) 교육'을 강화해 학생들에게 지역적 정체성을 심어주고 있다.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교육 플랫폼
전남교육청의 정책은 지역 학생들에게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동시에 해외 인재를 유치해 교육 환경의 다양성과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인공지능과 화상 수업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육은 미래 교실의 모델을 제시하며, 전남 교육이 전국적으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도록 한다.
전남의 자연과 문화를 활용한 독서 및 인문교육은 학생들에게 고유의 정체성을 심어주며,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반면에 "해외 인재들이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프로그램을 넘어선 지속적이고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교육 자원의 불균형이 존재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이들 장점을 잘 살리고 단점들은 보완하면서 K-에듀의 대표 브랜드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와 같은 노력은 전남을 글로벌 인재 양성의 중심지로 성장시키며, 지역 발전의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의 글로컬 교육은 지역과 세계를 잇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전망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목포·신안 통합 눈앞, 전남 서남권 미래 변화 일 듯
- 전남 설 연휴, 의료 공백 없이 안전한 진료 지원
- 남해선 철도 개통 눈앞, 목포에서 보성까지 73분 단축
- 목포신항, 해상풍력 거점 항구로 도약
- 목포역, 서남권의 새로운 관문으로 변신
- 순천 연향들 개발사업 본격화, 지역경제의 새로운 도약 발판
- 전남 국립의과대학 신설 사활, '계엄' 혼돈 속 가능성은?
- 신안군 '햇빛연금'의 성공…타 지자체 적용 방안 검토 필요
- 전국 지자체, AI 행정 본격화…무역·안전·민원까지 혁신 가속
- 전남도, 초거대 AI 혁신 대비 해야
- 전남 여수시, 2025년 대형 한류종합행사 공모 선정
- 전남도교육청, 2022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교과별 연수 운영
- 전남, 전국 최다 교육발전특구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