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이 많은 전라남도, 그중에서도 해양관광과 어업활동이 활발한 여수 연안의 해양안전 체계가 인공지능(AI)을 통해 대대적으로 강화된다. 

해양안전 영상인지 인공지능 활용 시나리오 예시 (사진=해양경찰청)
해양안전 영상인지 인공지능 활용 시나리오 예시 (사진=해양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2025년 부처협업기반 AI 확산사업'에 해양경찰청이 협업기관으로 최종 선정되면서, 향후 2년간 국비 18억 원이 투입돼 AI 기반 해양안전 대응 시스템이 본격 구축된다.

기존에는 해양경찰관의 순찰이나 민간의 신고에만 의존해야 했던 구조 활동이, 앞으로는 AI가 해양 영상을 분석해 위험을 실시간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연안 사고가 빈번하고 섬이 산재한 여수, 고흥, 완도, 진도 등지의 해역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전남 지역은 한려수도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그리고 470여 개의 유인도·무인도가 혼재된 전국 최대 섬 보유 도로서, 해양경비의 난이도가 높은 지역이다. 

갯벌 고립사고, 조업 중 어선 화재, 급작스러운 기상 변화에 의한 파랑 피해 등 복합적인 위험요소가 늘 존재한다.

이번 AI 확산사업을 통해 해양경찰청은 ▲AI 기반 영상인식 시스템으로 갯벌 고립자 자동 감지 ▲연안 어선의 이상 동작 및 화재 감지 기술 개발 ▲CCTV 및 드론 영상 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파고·기상 분석 ▲무인 관제 및 사고 예측 기능 도입으로 구조 골든타임 확보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여수항을 비롯한 전남 동부 연안은 어업활동과 함께 해양레저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번 시스템 도입은 민간 해양활동의 안전 확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령화된 어업인들이 많은 현실에서, AI 기술은 안전조업을 위한 보조 인력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해양경찰청 안성식 기획조정관은 "전국 해역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광범위한 연안을 가진 전남 지역의 특성상, 한정된 인력으로는 한계가 있었다"며, "인공지능을 통해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전남 해역의 해양 주권과 안전을 동시에 지키는 구조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바다가 일상이자 생계인 전남의 연안 주민들에게는, 보다 안전하고 스마트한 바다 시대가 가까워지고 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