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대 부속중학교 설립, 지방을 살리는 교육의 시작"

전남도의회 정영균 의원(순천1, 더불어민주당)이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교육이야말로 지방을 살리는 해법"이라고 강조하며, 국립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설립을 본격적으로 제안하고 나섰다.

정영균 전남도의원이 "순천대 부속중학교 설립이 지방을 살리는 교육의 시작"이라고 말하고 있다.
정영균 전남도의원이 "순천대 부속중학교 설립이 지방을 살리는 교육의 시작"이라고 말하고 있다.

지난 31일, 순천대 70주년 기념관 초석홀에서 열린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교육발전방안 정책토론회'는 교육부, 전남도, 전남교육청, 순천대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 자리에서 정 의원은 부속중 설립의 필요성과 함께, 지역과 대학이 함께 살아날 수 있는 미래 전략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

정영균 의원은 기조발언에서 "전남은 2046년 기준 대학 생존 가능성이 19%에 불과하다"며 "이대로 가면 교육은 물론 지역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순천대 사범대학은 지역 교사 양성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지만, 아직까지 부속중학교가 없어 교육 실습과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 의원은 "사범대에 부속중학교가 없다는 건, 미래 교사를 길러내는 터전이 부족하다는 의미다"며 "이건 단지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교육의 기반이 흔들리는 심각한 문제다"고 지적했다. 

교육발전방안 연구 정책토론회 후 기념촬영을가젔다. (사진=전남도의회)
교육발전방안 연구 정책토론회 후 기념촬영을가젔다. (사진=전남도의회)

부속중학교 생기면, 뭐가 달라질까?

정 의원이 강조하는 부속중학교의 역할은 단순히 실습학교가 아니다. 실제로 부속중이 생기면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된다.

▲미래 교사들의 현장 실습 강화 → 실습-연구-수업 피드백이 체계적으로 이어지는 교육 시스템 정착.
▲지역 공교육 혁신 거점 역할 → 부속중학교가 새로운 교육 모델을 실험하고, 그 성과를 지역 학교로 확산.
▲지방대학과 지역의 상생 구조 형성 → 지역 교육청, 대학, 주민이 함께 만드는 '살고 싶은 교육도시' 실현.

정 의원은 이를 통해 "부속중학교는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교육 생태계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전국 대부분의 국립사범대에는 부속중학교가 존재한다. 순천대처럼 없는 곳은 오히려 드물다.
그렇다면 순천대 부속중 설립,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현재 교육부와 전남교육청, 순천대가 설립 논의를 본격화할 수 있는 분위기는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부지확보 문제 ▲행정적 인가 절차 ▲예산 지원 확보 등은 넘어야 할 절차다.

이러한 실무 과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자체와 대학, 교육당국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는 게 정 의원의 판단이다.

단순한 학교 하나가 아니라, 지역을 살릴 '교육 거점'

정영균 의원은 부속중학교 설립을 단순한 교사 실습을 위한 학교가 아닌, 지방소멸을 막을 실질적 해법으로 보고 있다.

정 의원은 "교육이 좋아야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면 마을이 유지되고, 지역이 살아난다"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도의회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정책적 뒷받침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속중학교는 그저 하나의 학교가 아니다. 지방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아이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지키는 일이자, 지역에서 일하고 싶은 교사를 길러내는 기반이며, 지방이 수도권과의 교육 격차를 줄이고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자립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정영균 의원의 이 제안이 단순한 주장에 머물지 않고, 정말로 전남 교육과 지방의 미래를 바꾸는 실천으로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