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일론 머스크 CEO에 영리 기업 전환 문제로 소송을 당한 오픈AI가 반격에 나섰다. 법원에 그의 행동을 저지해 달라고 반소를 제기했다.

오픈AI는 10일(현지시간) X(트위터)를 통해 "일론이 우리를 상대로 끊임없이 벌이는 행위는 오픈AI의 발전을 지연시키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선도적인 AI 혁신을 장악하려는 악의적인 전략일 뿐"이라며 "그를 저지하기 위해 오늘 반소를 제기했다"라고 밝혔다.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제출된 서류를 통해 오픈AI는 "머스크는 회사를 무너뜨리는 것을 자신의 프로젝트로 삼았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더 이상의 불법적이고 부당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막아 달라고 요청했으며, 그가 회사에 입힌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특히, 지난 2월 오픈AI 비영리 부문을 974억달러(약 142조676억원)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한 것을 "가짜"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머스크 CEO 측 변호사인 마크 토버로프는 "오픈AI 이사회가 인수 제안을 진지하게 고려했다면, 그 심각성을 깨달았을 것"이라고만 밝혔다. 

이는 당시 인수 제안으로 인해 오픈AI가 영리 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지분 배분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즉, 오픈AI가 이를 무효화하기 위해 반소를 제기했다는 뜻이다. 

실제로 오픈AI는 인수 제안을 거절한 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인수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이사회에 특별 투표권을 부여하는 것을 검토한 바 있다. 

그만큼 외부의 인수 제안은 비영리 부문의 가치를 결정하는 잣대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AI가 비영리 부분에 최소 974억달러의 가치를 부여하면, 다른 투자자들의 지분이 줄어들 수 있다. 현재는 300억달러 정도의 가치를 검토 중이기 때문이다.

한편, 비영리 단체와 노동 단체 등은 이번 주 캘리포니아주 검찰총장에게 오픈AI의 영리 법인화를 막아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들도 "오픈AI가 비영리 부문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고, 안전한 AI 발전이라는 사명을 훼손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현재 오픈AI는 영리 기업 전환을 위해 캘리포니아 주정부와 논의 중이며, 머스크 CEO와의 본 재판은 내년 3월로 결정됐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