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반도체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지역 반도체 학과 신설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시는 민선 8기 광주·전남 상생 1호 협력 사업인 ‘광주·전남 반도체특화단지 유치를 위한 토론회’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고 5일 밝혔다. 국회 산업통상자위 소속 김회재‧양향자‧이용빈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광주시, 시의회, 전남도, 도의회, 광주·전남반도체산업육성추진위원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광주전남지역연합회)가 공동 주관했으며 기업, 연구기관, 대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한목소리를 냈다. 김종갑 광주·전남반도체산업육성추진위원장은 “대한민국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광주·전남이 지역 강점을 십분 활용해 선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지역 강점으로 ▲RE100 실현이 가능한 유일한 지역 ▲풍부한 전방산업 수요 ▲즉시 공급 가능한 부지 및 용수·물류망 등을 꼽았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유수의 대기업이 RE100을 선언한 가운데 해상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광주·전남이야말로 RE100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지라는 점에서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현실 비판도 잇따랐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광주·전남의 경우 반드체 관련 기업은 엠코테크놀러지가 유일하다. 현재 반도체 기업 67%(2576개), 인력 69%(11만6273명)는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기업 유치를 위해 수도권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의 가치를 부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반도체 인재 육성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됐다. 지역 대학에는 반도체 '계약학과'가 전무하며, 그나마 2023년에 전남대와 목포대에 반도체 관련 2개과가 들어설 예정이다.
계약학과는 졸업과 동시에 협약을 맺은 산업체 기업에 바로 취업할 수 있어, 인재 육성 및 확보 차원에서 필수로 꼽힌다. 반도체 대기업인 삼성의 경우 ▲연세대 ▲성균관대 ▲포항공대 ▲카이스트와, SK하이닉스는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와 계약을 맺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 지자체는 ▲자동차, 에너지, 인공지능(AI), 미래모빌리티 등 전방산업 수요에 기반한 시스템반도체산업 초기 동력 확보 ▲정주여건 지속 개선 및 산학연 혁신 네트워크 확충 등을 통해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광주와 전남은 민선 8기 상생 1호 협력사업으로 ‘AI 기반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특화단지 조성’을 내걸고 본격적인 유치활동에 나섰다. 지역 강점을 내세워 반도체특화단지를 유치·조성해 반도체산업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토론회 내용을 적극 반영, 다음 달 예정된 산업부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신청 공모 심사에 대응할 방침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재 다른 지역과 비교해 광주는 비해 첨단3지구에 바로 입주가 가능하다는 점이 매력적"이라며 "반도체 특화단지 첨단산업법에 의한 보조금 지원을 비롯해 시 조례에 의한 지방세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 관계자는 “재생에너지와 용수, 인력 공급이 비교적 원활한 여건이 조성돼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aitimes.com
- 미국도 반도체 설계 분야 정부 지원 필요성 제기
- '애국상장'으로 활로 찾는 중국 반도체 기업
- EU, 반도체 대외 의존도 낮춘다
- 미·중 반도체 전쟁에 난감한 국내 반도체 기업
- 전남, 대우건설과 손잡고 UAM 개척 나선다
- 광주, 국산 AI 반도체 시험·검증 환경조성 사업 참가
- 투디지트·그리다·a2z, 광주 대표 AI 기업으로 성과 공유
- 광주 AI산업융합사업단 "올해 10개 기업창업·41명 일자리 성과"
- 광주시 "올해 인공지능 전문가 302명 배출"
- 광주,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첫 평가서 '우수'
- "설에도 외롭지 않아요"…전남 독거 노인에 AI 반려로봇 보급
- 광주전남연구원, AI 창업 생태계 조성 방안 제시
- 전남, 지능형 스마트공장 구축 80% 지원
- 류상완 전남대 교수, 한국물리학회 반도체학술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