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업무의 미래' (사진=IMF)
'인공지능과 업무의 미래' (사진=IMF)

국제통화기금(IMF)이 인공지능(AI)으로 인해 전 세계 일자리 40%가 영향를 받는 것은 물론 국가별 불평등이 심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보스포럼을 두고 실시한 다른 설문 조사 결과도 이런 내용을 뒷받침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14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인공지능과 업무의 미래'라는 자체 보고서 내용을 언급하며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AI는 전반적인 불평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라고 밝혔다.

선진국의 일자리 중 60%가 AI의 영향을 받으며, 그중 절반은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나머지는 임금에 영향을 미치고 심지어는 일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봤다.

인도나 브라질 같은 신흥국은 40%, 시에라리온 같은 저소득 국가는 일자리의 26%에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국가 상당수는 AI 인프라나 전문 인력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진국과 뒤떨어지는 국가 간 불평등이 악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AI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저소득층과 노년층이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유형별 업무 AI 노출도 (사진=IMF)
국가 유형별 업무 AI 노출도 (사진=IMF)

이는 스위스 다보스에서 15일 개막한 세계경제포럼(WEF)을 염두에 둔 발표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글로벌 리더와 전문가들에게 AI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안전망을 구축하고, 재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보스포럼 참석자들도 이미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회계법인 PwC의 설문 조사에서도 AI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든다는 예측이 등장했다. 

105개국에 걸쳐 4702명의 글로벌 기업 CEO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4분의 1이 올해 생성 AI로 인해 최소 5%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은행, 보험, 물류 등에서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을 높게 봤다. 

조사 대상자 중 약 46%는 생성 AI 사용이 향후 12개월 동안 수익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했으나, 47%는 이 기술이 거의 또는 전혀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난 1년 동안 32%가 회사 전체에 생성 AI를 도입했으며, 그중 58%는 향후 12개월 내에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직원이 새 기술을 배워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69%에 달했다.

밥 모리츠 PwC 글로벌 회장은 “비즈니스 리더들이 거시경제적 과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업계 내 파괴적 요인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라며 "생성 AI의 출시를 가속하든, 기후 변화의 과제와 기회를 해결하기 위해 비즈니스를 구축하든, 올해는 변화의 해"라고 설명했다.

WEF도 AI로 인한 세계 경제의 불균형을 지적했다. 민간 부문과 공공 부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6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조사 대상 94%는 AI가 향후 5년 동안 고소득 국가의 생산성을 급격하게 향상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53%만이 저소득 국가에도 비슷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87%는 지정학적 발전과 함께 AI의 영향이 세계 경제의 변동성을 촉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했다. 또 57%는 이런 상황이 향후 3년 내에 불평등을 증가시키고 남북 격차를 확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디아 자히디 WEF 전무는 “주요 과제를 해결하려면 글로벌 성장을 재점화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성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라고 자적했다.

올해 다보스포럼은 '경제와 사회의 원동력으로서의 AI'를 주제로 30여개의 개별 세션을 진행한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