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교육과 직업 정착의 최전선
인구감소 시대, 지방의 젊은 인구를 지키는 데 가장 실질적인 교육기관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전문대학이다. 짧은 교육과정,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 지역산업과 밀접한 연결성 등 전문대학이 가진 특성은 '배움 이후, 곧바로 정착'이 가능한 교육모델을 제공한다.
전남은 현재 순천제일대, 청암대, 광양 보건대, 나주대, 목포과학대, 전남도립대, 전남과학대, 한영대, 송원대(광주 인접권) 등 여러 전문대학이 포진해 있다.
이들 학교는 보건·간호·복지·농업·기술·관광 등 지역 수요 기반의 전공을 운영하며, 전남의 산업 기반과 고령사회에서 특히 필요한 생활 밀착형 인력을 길러내고 있다.
단기 교육 → 지역 취업 → 정착으로 이어지는 구조
전문대학교의 가장 큰 장점은 교육과 취업의 연결 고리가 매우 짧다는 점이다. 일부학과는 4년제도 있고, 졸업과 동시에 해당 지역기업, 병원, 복지시설 등에 곧바로 취업할 수 있으며, 실제 전남 내 취업률 70~80% 이상을 유지하는 학과도 다수 존재한다.
이는 단순한 교육의 문제를 넘어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고, 살아가는 인구 순환 구조를 형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의미다.
전남과학대 관계자는 "우리 대학 간호과와 물리치료학과는 지역 내 취업률이 최상위권이고, 특히 광양·순천 지역 병원과의 연계가 탄탄하다"며 "학생들이 졸업 후 바로 현장으로 들어가도 업무 적응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전문대학들은 간호학과, 치위생과, 사회복지과, 안경광학과, 스마트팜 관련 전공 등은 지역 내 고용수요가 꾸준해, 지방청년의 이탈을 막는 중요한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다.
전남도립대학교 관계자는 "지금 지방에서 학생을 모은다는 건 단순한 입학자 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며 "우리 학교는 전남의 산업 구조와 일자리를 정확히 분석해 학과를 구성하고 있다. 입학은 곧 지역 정착의 문을 여는 일"이라고 말했다.
'현장 기반 지역정착'의 전략적 거점
지금까지의 인구정책이 출산장려금이나 전입 장려금처럼 '한 번의 선택'에만 초점을 뒀다면, 전문대학은 청년의 생활기반 자체를 지역에 심는 인프라다. 특히 다음과 같은 특성이 중요하다.
▲실습 중심 커리큘럼 → 현장 적응력 높음 ▲산학협력 체계 활성화 → 지역 기업과 인재 매칭 ▲지자체·공공기관 협력 프로그램 → 지역 봉사·취업 연결 ▲숙련기술직 인력 양성 → 청년창업 및 농촌인력 대체 가능.
이러한 특성은 대학 자체가 '배움의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와 직접 닿아 있는 플랫폼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전문대학을 인구정책의 전면에 세워야 할 때
그동안 인구정책과 교육정책은 다소 분리되어 다뤄져 왔다. 그러나 지금 필요한 것은 교육을 통한 인구전환 모델의 수립이며, 이때 전문대학은 지방에서 가장 실천력 있는 거점이 될 수 있다.
지방정부는 전문대학과의 협업을 통해 ▲정주형 직업교육 시범사업 추진 ▲청년 대상 학비지원+취업연계형 계약학과 확대 ▲지역맞춤 산업형 학과 공동 개설 (지자체+대학+기업 협약) ▲전문대 졸업 후 지역 내 창업 및 귀농 지원 패키지 운영 등의 접근이 필요하다.
전남의 전문대학교는 단지 교육기관이 아니다. 기술과 사람을 동시에 남기는 지역정착의 플랫폼이다. 더 늦기 전에, 이 학교들이 가진 실천적 가능성에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
목포과학대 외식조리디저트창업과를 졸업한 한 취업생은 "졸업 직후 전남의 한 리조트에 취업해 일하고 있다"며 "학교에서 배운 실무 덕에 금방 적응했고 여기에서 열심히 하면 몇 년 후엔 혼자 창업도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대학은 지금, 지방의 가장 현실적인 인구정책이다. 지역을 떠나지 않게 만드는 길은, 지역에서 '살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학교에서 시작된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전남형 만원주택, 지방소멸 막는 희망의 집을 짓다
- [기획-인구문제⑦] 지역대학이 멈추면 지역도 멈춘다
- [기획-산단·AI 융합①] 여수국가산단, AI로 안전과 미래를 설계해야
- 전남, 인공태양에너지 중심지로 뜰까?
- "AI와 함께 다시 태어나는 관문도시" 목포
- [기획-산단·AI 융합②] 광양국가산단, AI로 철강·금속산업의 미래 재설계
- AI 시대, 왜 우리는 여전히 '국가유산'을 지켜야 하는가
- 순천대, 20년간 이어온 나눔…AI 시대 지역인재 성장터로
- [기획-산단·AI 융합③] 목포신항·대양산단, AI로 스마트 항만 미래 가능
- 순천대, AI 시대 맞춤형 교육 혁신 가속…디지털 전환 대응
- [기획-산단·AI 융합④] 나주혁신산단, AI·에너지 클러스터로 미래를 연다
- 순천시 연향들, 갈등과 기대 속 '연내 착공' 본격화
-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해양자원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교두보 마련
- [기획-산단·AI융합⑤] 순천 해룡·율촌, 스마트그린산단 현황은
- 박성현 YGPA 사장, '도전'을 남기고 떠나다
- 광양만권 위기, 선언만으로 극복될까?
- 신민호 도의원 "햇빛으로 농촌을 살리자"
- [기자수첩] 김영록 지사의 '환영'은 누구를 향한 것인가
